September 30, 2025
프로토콜 현대 인터넷은 호스트 간 패킷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대부분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합니다. 언어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회적으로 합의된 의사소통 방식이라면 프로토콜(protocol)은 노드 간에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나 방법을 의미합니다. 서로 다른 통신 장치들이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프로토콜이 통해야 합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
September 30, 2025
이더넷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오늘날의 두 계층은 이더넷(ethernet)이라는 공통된 기술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더넷은 현대 LAN, 특히 유선 LAN 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두 대의 컴퓨터가 있습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 받으려면 가장 먼저 케이블과…
September 30, 2025
네트워크란 여러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입니다. 네트워크는 그래프라는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기본 구조 모든 네트워크는 노드,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 노드 간 주고 받는 메시지로 구성됩니다. 노드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 간선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유무…
October 03, 2025
라우터의 핵심 기능은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한 뒤 해당 경로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라우팅 테이블이 만들어지는 방법과 프로토콜에 따라 라우팅을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라우터와 라우팅 테이블 라우터 네트워크 계층의 장비로 라우터만 알아도 큰 무리가 없을 정도로,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의 …
October 03, 2025
데이터 링크 계층의 한계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만으로 LAN을 넘어서 다른 도시나 다른 국가에 있는 노드와 통신할 수 있을까요? 언뜻 들으면 가능할 것 같지만, 데이터 링크 계층에는 송수신지를 특정할 수 있는 잘 보인 MAC 주소라는 개념이 있으니까, 이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도시, 다른 국가에 있는 수신지로 전송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결론…